본문 바로가기
시황 정리

딥시크의 등장과 미국 AI

by 경주마 economy 2025. 1. 27.

오늘 25년 1월 27일 중국 AI 딥시크가 등장 여파로 인해 미국 증시가 급락하고 있습니다.

 

과거 소련이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을 스푸트니크 발사해 성공했을때 미국은 스푸트니크 쇼크에 삐졌는데,

 

이때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가 만든 AI 스타트업으로 지난해 처음 자체 AI 모델인 딥시크를 선보였고 이번 달 20일에 선보인 딥시크 R1은 chat GPT o1와 성능이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여기서 금융 시장에 충격을 가져다 준 점은 바로 학습 비용입니다.

 

딥시크는 메타의 라마3가 학습하는데 사용한 비용의 10분의 1 수준으로 개발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기술에서 다른 모델들보다 우수한 결과를 냈고 특히 코드나 수학 부분에서 우위를 보였습니다.

딥시크 홈페이지 성능비교표

 

이처럼 상대적으로 낮은 컴퓨팅(비용)으로 강력한 AI 모델을 만들고 이를 오픈 소스로 공개했다는 점에서 미국의 AI 기술을 앞섰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맞서 오픈 AI도 o3-mini 모델을 무료로 풀었지만 역부족이었습니다. 딥시크는 WEF 다보스 포럼에서도 언급되며 미국 실리콘 밸리를 압박했습니다.

 

현재 한국시간 기준 7시에 이러한 비용 비효율성이 제기되면서 엔비디아를 필두로 AI 관련 기업들이 하락하면서 나스닥 100 선물 가격이 3.27% 하락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나스닥의 옵션시장, 버핏 지수를 봤을 때 AI 시장은 과도하게 상승한 상태였고 딥시크의 등장이 트리거가 되어 하락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이런 AI 시장에 경쟁은 미국 AI 기업들의 비효율적인 시장 구조를 깨고 이윤을 하락시킬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반면 딥시크 관련주에 해당하는 저장둥팡(浙江東方), 화진쯔번(華金資本), 메이르후둥(每日互動), 춰촹쯔쉰(卓創資訊) 는 상한가 마감을 했습니다.

 

일시적인 하락으로 갈지 말지는 이후 미국에서 AI 모델의 성공적 출시가 관건이 될 거 같습니다.

 

현재로써는 이를 기점으로 과도한 상승을 보이던 나스닥이 일정 기간동안 조정이 올 거 같습니다.

 

+ 오늘이 월요일인거 보니 블랙 먼데이까지 겹쳐서 매물이 쏟아져 나오는 것 같습니다.

'시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1-22 시장 동향 리포트  (0) 2025.01.22
1월 주요 미국 물가, 고용 지표  (0) 2025.01.17
2025-01-16 시장 동향 리포트  (0) 2025.01.16
2025-01-15 시장 동향 리포트  (0) 2025.01.15
2024-12-26 시장 동향 리포트  (4) 202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