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2 국내 은행 주요 통계 현재 금융권에 안정성 평가가 중요한 시점입니다. 환율은 1400원을 상회하고 매일경제신문의 헤드라인에는 비트코인 투자 열풍으로 다시 '빚투'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효과로 인해 국내 요구불 예금이 대규모 이동을 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공격적 투자 비중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부동산 PF 문제는 현재진행형입니다. 이에 국내 은행의 총자산, 자본금, 자기자본, ROA(자산대비수익률), 순이자마진, BIS 기준 총자본비율, 고정이하여신비율, 연체율에 대한 통계를 알아보겠습니다. 예금보험공사에서 2024년 10월 23일에 발표한 은행 주요 통계에 자산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 : %, %p)구 분총자산자본금자기자본'24.3월말'24.6월말증감율'24.3월말'24.6월말증감'24.3월.. 2024. 11. 17. 금융사 리스크 관리 이 글은 금융사 리스크 관리 방안과 구체적 모델 동영상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2023 thebell Risk Management Forum 1. 리스크 요인의 변화 및 특성최근 리스크 요인을 5가지로 나누고 있습니다.1. 경제2. 환경3. 지정학4. 사회5. 기술 과거 2013년에는 시스템적 금융 실패가 가장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지만 최근에는 생계 위기, 자연재해 및 극단적 기상 현상, 지정학적 갈등, 기후변화 완화 실패, 사회결속력 약화 및 양극화, 대규모 환경피해, 기후변화 적응 실패, 사이버 범죄 및 불안, 자원 위기, 대규모 비자발적 이주가 있습니다. 향후 10년간 예상 리스크 요인은 기후 변화가 주요적입니다. 새로운 리스크는 리스크의 파급 경로와 영향이 매우 복잡하다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2024. 11.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