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2 시장 동향 리포트
1. 한국 시장 동향
국내 증시는 전반적으로 강세 흐름을 보였습니다. KOSPI는 2,547.06pt로 전일 대비 29.03pt(1.15%) 상승했으며, 52주 최고가 대비 12.1% 하락한 상태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KOSDAQ는 732.31pt로 전일 대비 6.24pt(0.86%) 상승했으며, 52주 최고가 대비 20.6% 하락한 수준이며, 20일 평균 대비 1.1배의 평균 수준의 거래량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KOSPI가 1.15%의 상승을 기록하며 큰 폭의 변동을 보였습니다.
KOSPI
- 종가: 2,547.06 (+1.15%)
- 거래량: 583,737,394.0
- 52주 최고가 대비: -12.1%
KOSDAQ
- 종가: 732.31 (+0.86%)
- 거래량: 917,737,627.0
- 52주 최고가 대비: -20.6%
2. 미국 시장 동향
미국 주요 지수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S&P 500은 6,049.24로 전일 대비 0.88% 상승했으며, 52주 최고가에 근접한 수준이며, NASDAQ은 19,756.78로 전일 대비 0.64% 상승했으며, 52주 최고가에 근접한 수준이며, DOW은 44,025.81로 전일 대비 1.24% 상승했으며, 52주 최고가에 근접한 수준이며, 20일 평균 대비 1.2배의 평균 수준의 거래량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그동안 조정을 받던 DOW가 1.24%의 상승을 기록하며 가장 큰 변화를 보였습니다.
S&P 500
- 종가: 6,049.24 (+0.88%)
- 거래량: 4,702,920,000.0
- 52주 최고가 대비: -0.8%
NASDAQ
- 종가: 19,756.78 (+0.64%)
- 거래량: 8,015,780,000.0
- 52주 최고가 대비: -2.2%
DOW
- 종가: 44,025.81 (+1.24%)
- 거래량: 592,210,000.0
- 52주 최고가 대비: -2.3%
3. 미국 옵션 시장 동향
옵션 시장 분석
SPX (S&P 500) 옵션 시장 동향
- Put/Call 비율 분석:
- 거래량 기준: 2.55
- 미결제약정 기준: 3.41
- 시장 심리: 매도 우위
- 신호 강도: 100.0%
- 변동성 분석:
- ATM IV: 13.2%
- 스큐 상태: 하방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큰 상태
- 풋옵션 프리미엄이 콜옵션 대비 높게 형성되어 있어, 시장 참여자들의 위험회피 심리가 강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 기간 구조 분석:
- 상태: 평탄한 기간 구조
- 종합 분석:
- P/C 비율과 변동성 스큐가 모두 매도 압력을 나타내고 있어, 단기 조정 가능성에 유의해야 합니다.
NDX (NASDAQ) 옵션 시장 동향
- Put/Call 비율 분석:
- 거래량 기준: 1.97
- 미결제약정 기준: 1.98
- 시장 심리: 매도 우위
- 신호 강도: 97.2%
- 변동성 분석:
- ATM IV: 2.4%
- 스큐 상태: 균형잡힌 상태
- 기간 구조 분석:
- 상태: 역조된 기간 구조 (불안정)
- 단기 옵션의 변동성이 장기 옵션보다 높아 단기적인 시장 불안이 감지됩니다.
- 종합 분석:
- P/C 비율과 변동성 스큐가 혼조된 신호를 보이고 있어, 추가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역조된 기간 구조가 관찰되어 단기적인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VIX (변동성 지수) 옵션 시장 동향
- Put/Call 비율 분석:
- 거래량 기준: 0.66
- 미결제약정 기준: 0.78
- 시장 심리: 매수 우위
- 신호 강도: 35.7%
- 변동성 분석:
- ATM IV: nan%
- 스큐 상태: 균형잡힌 상태
- 기간 구조 분석:
- 상태: 분석 불가
- 종합 분석:
- P/C 비율과 변동성 스큐가 혼조된 신호를 보이고 있어, 추가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4. 버핏 지표 (Buffett Indicator)
현재 버핏 지표는 185.8%로, 장기 추세선 대비 17.8% 높은 수준이며, 역사적 변동성을 고려할 때 매우 극단적인 수준입니다.
현재 시장은 '매우 과대평가' 상태로 평가되며, 이는 역사적으로 볼 때 매우 높은 밸류에이션을 의미합니다. 향후 1-2년 내 시장 조정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로 과거 40년간의 평균 버핏 지표는 101.7%이며, ±2 표준편차 범위는 130.4% ~ 184.9% 입니다.
현재 상태
- 현재 지표: 185.8%
- 장기 평균: 101.7%
- 시장 상태: 매우 과대평가
- 트렌드 대비: +17.8%
통계 분석
- Z-Score: 2.47 (표준편차 기준)
- 정상 범위: 130.4% ~ 184.9% (±2 표준편차)
5. 미국 국채 수익률
2년물과 10년물의 스프레드는 0.377%p로, 정상적인 우상향 곡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년물 수익률은 4.197%로 전일 대비 0.004%p 상승했습니다. 3개월 평균(4.400%) 대비 약세이며, 6개월 평균(4.778%)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변동성이 장기 평균을 크게 하회하고 있습니다. 현재 수익률은 기준금리 대비 0.30%p 낮은 수준입니다.
10년물 수익률은 4.574%로 전일 대비 0.035%p 하락했습니다. 3개월 평균(4.238%) 대비 강세이며, 6개월 평균(4.212%) 대비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변동성이 장기 평균을 크게 하회하고 있습니다. 현재 수익률은 기준금리 수준과 유사합니다.
30년물 수익률은 4.802%로 전일 대비 0.043%p 하락했습니다. 3개월 평균(4.475%) 대비 강세이며, 6개월 평균(4.433%) 대비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변동성이 장기 평균을 크게 하회하고 있습니다. 현재 수익률은 기준금리 대비 0.30%p 높은 수준입니다.
2년물
- 수익률: 4.197%
- 전일대비: +0.004%p
- 52주 최고: 5.255%
- 52주 최저: 4.150%
10년물
- 수익률: 4.574%
- 전일대비: -0.035%p
- 52주 최고: 4.809%
- 52주 최저: 3.603%
30년물
- 수익률: 4.802%
- 전일대비: -0.043%p
- 52주 최고: 5.005%
- 52주 최저: 3.906%
6. 주요 환율
원화는 주요 통화 대비 강세 흐름을 보이며, 환율은 전반적으로 하락했습니다. USD는 1432.40원으로 전일 대비 0.22% 하락했으며, 52주 변동범위의 79.8%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EUR는 1495.10원으로 전일 대비 0.54% 하락했으며, 52주 변동범위의 67.5%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보통 수준의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JPY는 100엔당 917.10원으로 전일 대비 0.83% 하락했으며, 52주 변동범위의 57.4%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보통 수준의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CNY는 197.32원으로 전일 대비 0.00% 하락했으며, 52주 변동범위의 65.3%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안정적인 범위 내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특히 JPY가 0.83%의 하락을 기록하며 가장 큰 변동을 보였습니다.
USD/KRW
- 환율: 1432.40원 (-0.22%)
- 52주 변동폭: 1216.96원 ~ 1487.04원
EUR/KRW
- 환율: 1495.10원 (-0.54%)
- 52주 변동폭: 1405.27원 ~ 1538.26원
JPY/KRW
- 환율: 917.10원/100엔 (-0.83%)
- 52주 변동폭: 848.63원 ~ 967.95원
CNY/KRW
- 환율: 197.32원 (+0.00%)
- 52주 변동폭: 196.71원 ~ 197.64원
7. 주요 뉴스
[국내 경제]
고려아연, 순환출자 만들어 영풍 의결권 무력화 시도
- 출처: 조선비즈
- 시간: 2025-01-22T21:53:00
- 요약: SMC가 영풍 지분 10.33%를 확보하면서 고려아연 지분 25.42%를 보유한 영풍에 대한 지배력을 갖게 된다. SMC의 영풍 지분 취득은 상법(제369조 제3항)상 상호주 제한을 노린 것이다. 최 회장 측은 MBK·영풍 측은 고려아연 지분 약 40%를 갖고 있는데, 이 중 영풍이 보유한 지분만큼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글로벌 경제]
트럼프가 모든 중국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할 경우 더 비싸지는 것들
- 출처: CNN
- 시간: 2025-01-22T12:37:52Z
- 요약: 트럼프 대통령님은 2월 1일부터 중국 상품에 대해 10%의 잠재적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하셨습니다. 이는 현재 관세가 면제되어 있는 소비자 전자제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수입 데이터에 따르면 통신 장비와 컴퓨터 제품은 중국에서 구매하는 주요 품목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부 소매업체는 초기에는 증가한 비용을 흡수할 수 있으나, 관세가 시행될 경우 소비자들은 곧 가격 상승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비자 여러분께서는 가격 인상 가능성이 발생하기 전에 전자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고려하시기를 권장합니다.
2024년 글로벌 석유 및 가스 발견 리뷰: 에너지 지형을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진 다수의 발견 - ResearchAndMarkets.com
- 출처: business wire
- 시간: 2025-01-22T12:34:00Z
- 요약: "Global Oil and Gas Discoveries Review, 2024" 보고서가 ResearchAndMarkets.com에 의해 발행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다양한 지역에서의 주요 석유 및 가스 발견 사항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발견이 전 세계 에너지 환경에 미칠 잠재력에 대해 강조하고 있습니다. 보고서에는 지역별, 주요 국가, 운영자, 지형에 따른 발견 상세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2024년도 발견 사항과 2023년도 발견 사항을 비교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전략 개발 및 의사 결정을 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그들의 웹사이트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스트리밍 성공에 관한 아침 뉴스
- 출처: Motley Fool
- 시간: 2025-01-22T12:30:00Z
- 요약: 2025년 1월 22일, 넷플릭스는 시간외 거래에서 14% 상승하며 1,900만 명의 새로운 가입자를 확보하고 150억 달러의 자사주 매입을 발표했습니다. 항공사 주식에 대한 신뢰도도 상승했으며, 유나이티드 항공은 4분기 연속으로 예상치를 초과하는 실적을 보고했습니다. 오라클은 5000억 달러 규모의 인공지능 프로젝트에 참여한 후 7% 상승하였으며, 알파벳은 인공지능에 추가 투자를 진행하였습니다. 존슨앤드존슨은 이전의 강한 실적에 이어 4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으나, 타르크 관련 소송의 합의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투자자들은 2025년 넷플릭스를 차별화할 수 있는 잠재적 우수 주식에 대한 논의를 권장하였습니다.
수요일 투자 추천: 트럼프 경제 관련 두 종목 및 넷플릭스 평가
- 출처: CNBC
- 시간: 2025-01-22T12:27:35Z
- 요약: CNBC의 "Worldwide Exchange"에서 주요 논의 내용은 투자자들의 정서가 트럼프 행정부가 제조업과 화석 연료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부각시켰습니다. The Wall Street Alliance Group의 아딜 자만(Aadil Zaman)님은 전기 수요 증가로 인한 성장을 예상하며 이튼(Eaton, ETN)을 추천했습니다. 씨티(Citi)의 드류 페티트(Drew Pettit)님은 화석 연료 부문에서의 잠재력 때문에 플로우서브(FlowServe, FLS)를 선호하며, 유의미한 실적 성장을 예측하였습니다. 한편, 울프 리서치(Wolfe Research)의 피터 수피노(Peter Supino)님은 강력한 실적 보고에도 불구하고 넷플릭스(Netflix)에 대한 신중한 입장을 표명하며, 구독 비용 상승이 소비자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지적하였습니다.
8. 주요 경제 지표
2025-01-22 ~ 2025-01-23 경제 지표 일정
2025-01-23
00:00
- [USD] ⭐⭐ US Leading Index (MoM) (Dec)
- 발표:
- 예상: -0.1%
- 이전: 0.3%
00:15
- [EUR] ⭐⭐ ECB President Lagarde Speaks
03:00
- [USD] ⭐⭐ 20-Year Bond Auction
- 발표:
- 예상:
- 이전: 4.686%
03:30
- [EUR] ⭐⭐ German Buba President Nagel Speaks
06:30
- [USD] ⭐⭐ API Weekly Crude Oil Stock
- 발표:
- 예상:
- 이전: -2.600M
08:50
- [JPY] ⭐⭐ Adjusted Trade Balance
- 발표:
- 예상: -0.51T
- 이전: -0.38T
08:50
- [JPY] ⭐⭐ Exports (YoY) (Dec)
- 발표:
- 예상: 2.3%
- 이전: 3.8%
08:50
- [JPY] ⭐⭐ Trade Balance (Dec)
- 발표:
- 예상: -55.0B
- 이전: -110.3B
22:30
- [USD] ⭐⭐ Continuing Jobless Claims
- 발표:
- 예상: 1,860K
- 이전: 1,859K
22:30
- [USD] ⭐⭐⭐ Initial Jobless Claims
- 발표:
- 예상: 221K
- 이전: 217K
'시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시크의 등장과 미국 AI (0) | 2025.01.27 |
---|---|
1월 주요 미국 물가, 고용 지표 (0) | 2025.01.17 |
2025-01-16 시장 동향 리포트 (0) | 2025.01.16 |
2025-01-15 시장 동향 리포트 (0) | 2025.01.15 |
2024-12-26 시장 동향 리포트 (4) | 2024.12.26 |